처음엔 순서도 모르고 도면부터 봤어요.
토목회사에 처음 입사했을 때 저는 도면부터 들여다봤어요.
근데 정작 “뭐부터 시공하지?”라는 질문에는 답을 못 했어요.
사수가 묻더라고요.
“이게 설계도면은 좋은데, 시공 순서는 생각해봤어?”
그때 처음 깨달았어요.
아, 공사는 도면보다 ‘순서’가 더 중요하구나.
혹시 여러분도 “토목공사는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는지 모르겠다” 하신다면,
오늘 이 글에서 현장 중심 토목 시공순서를 단계별로 확실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✔ 토목공사의 전체 시공 흐름은 이렇게 됩니다
1. 착공 전 준비 단계
- 측량 및 기준점 설정
- 토지 정지작업 (잡목 제거, 쓰레기 정리 등)
- 가시설 설치 (펜스, 안전망, 임시 도로 등)
✅ 이 단계는 현장 진입 준비 + 시공 정확도 확보가 목적입니다.
2. 토공사 (흙 다루는 작업)
절토 | 높은 지형을 깎아내는 작업 (컷팅) |
성토 | 낮은 지형에 흙을 쌓아 평탄화 (매립) |
다짐 | 흙을 다져서 침하 방지, 다짐도 시험 병행 |
배수로/배수층 시공 | 침수 방지 목적의 물 흐름 통제 작업 |
✅ 지반 안정성 확보가 핵심입니다!
3. 기초공사
- 지반 보강공법 적용 여부 판단 (말뚝, 소일 시멘트 등)
- 기초 형상 정리 → 거푸집 설치 → 철근 배근 → 기초 콘크리트 타설
💡 토목에서는 기초가 단단해야 모든 구조물이 안정적이에요!
4. 구조물 시공
- 보, 슬래브, 기둥 등 RC구조물 시공
- 교량, 옹벽, 터널 등 공종에 따라 맞춤 방식 적용
- 콘크리트 양생 및 품질시험 병행 (강도시험, 슬럼프 등)
✅ 구조물은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이므로 정밀 시공 + 품질관리 필수!
5. 포장 및 부대공
- 도로라면 아스팔트 포장 or 콘크리트 포장
- 부대공사: 난간, 배수구, 표지판, 조경 등 마감 작업 포함
- 정리 + 청소 + 준공검사 준비
✔ 정리 – 토목공사의 표준 시공순서 한눈에 요약
1️⃣ 착공 준비
→ 측량, 가시설, 정지작업
2️⃣ 토공사
→ 절토 → 성토 → 다짐 → 배수로
3️⃣ 기초공사
→ 굴착 → 거푸집 → 철근 → 콘크리트
4️⃣ 구조물 시공
→ 주요 구조 부재 시공 + 품질관리
5️⃣ 포장 및 마감공사
→ 포장 → 부대시설 → 정리 및 준공
✔ 결론 – 시공순서를 알면, 공사 흐름이 보입니다
설계는 종이에 그려진 계획이고,
시공순서는 실제 땅 위에 그걸 실현하는 흐름이에요.
공사 현장에서 이 순서를 잘 이해하면
도면 보는 눈도 달라지고, 작업 순서 판단도 빨라져요.
👉 토목기사 실기 공부하시는 분들도,
“왜 이 공정이 이 순서일까?”를 질문하며 공부하시면
이해력과 암기력 동시에 올라갑니다!
'토목 공학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IM 토목 활용] 이제는 필수다! 토목에서 BIM이 중요한 이유와 실무 적용 사례 총정리 🏗️ (0) | 2025.04.20 |
---|---|
[슬래브 구조 원리] 한 번 보면 평생 이해되는 슬래브의 기본 구조와 하중 흐름 🧱 (0) | 2025.04.20 |
[구조계산서 작성법] 실무자가 알려주는 기본 구성과 작성 포인트 총정리 📐 (0) | 2025.04.19 |
[도로 설계 기준] 토목기사 & 실무자를 위한 핵심 정리 – 도로설계, 뭐부터 봐야 할까? 🛣️ (0) | 2025.04.19 |
[건설안전기사 vs 토목기사] 뭐가 더 좋을까? 진로, 난이도, 전망 비교 분석! 🏗️📋 (0) | 2025.04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