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슬래브가 뭔가요?” 저도 처음엔 그냥 바닥인 줄 알았어요
건축 공부를 시작하면서 처음 듣게 된 단어 중 하나가 ‘슬래브'였어요.
“그냥 바닥 아냐?” 하고 넘겼다가,
하중 흐름, 철근 배근, 처짐 계산 등 실무와 시험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구조물이라는 걸 뒤늦게 알았죠 😅
특히 슬래브는 단순한 바닥 구조가 아니라
건물 전체 하중을 기둥과 보로 연결해주는 핵심 구조체예요.
오늘은 건축/토목 기사 시험 준비하시는 분들,
혹은 실무 입문하시는 분들을 위해
슬래브 구조의 원리와 하중 흐름을 완벽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✔ 슬래브란 무엇인가요?
슬래브(Slab)는 건축물의 수평 구조 부재, 즉 바닥판입니다.
주요 기능은?
- 상부 하중(사람, 기계, 가구 등)을 골고루 분산해 보로 전달
- 건물의 수평 강성 확보
- 단열, 방수, 방음 등 생활 환경 요소도 포함됨
💡 쉽게 말해, 슬래브 = 하중을 지탱하고 분산시키는 바닥 구조입니다.
✔ 슬래브 구조 원리 – 하중은 어떻게 전달될까?
슬래브 위에 사람이 서 있거나 물건이 놓이면,
그 하중은 슬래브 전체에 분산되어
➡ 보(Beam)
➡ 기둥(Column)
➡ 기초/Foundation
로 전달됩니다.
이 과정을 이해하면 “왜 슬래브에 철근을 넣는지”,
“왜 두께가 중요하고, 휨 모멘트를 계산해야 하는지”가 확실히 보여요!
✔ 슬래브 구조 방식 – 주요 3가지 유형
단방향 슬래브 | 한 방향(보 방향)으로만 휨 발생, 주철근 한 방향 집중 | 긴 직사각형 형태 (1방향 길이 차이 클 때) |
양방향 슬래브 | 두 방향 모두에서 휨 발생, 철근도 양방향 배근 | 정사각형 또는 근사 정사각형 평면 구조 |
무량판 구조 | 보 없이 기둥에 슬래브가 직접 연결되는 구조 | 사무실, 호텔, 공동주택 등 층고 제한 있는 공간 |
✅ 슬래브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
하중이 어떻게 분산되는지(단방향 vs 양방향)를 파악하는 거예요.
✔ 슬래브 구조에서 계산할 때 꼭 쓰이는 공식
1️⃣ 휨 모멘트(M):
M = w·l² / 8 (등분포하중 기준, 단순보 슬래브)
→ w: 단위 하중, l: 슬래브 경간
2️⃣ 필요 슬래브 두께:
t ≥ l / 30 ~ l / 40 (기준값, 사용 목적 따라 다름)
3️⃣ 철근량 계산 (As):
As = Mu / (0.85·fck·z)
→ 설계 모멘트(Mu), 콘크리트 강도(fck), 레버암(z) 필요
4️⃣ 처짐 검토:
허용 처짐량 기준: l/240 ~ l/360 이하
💡 슬래브는 장기 처짐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
재료 성능 + 하중 종류에 따라 여유 설계가 필요합니다.
✔ 결론 – 슬래브는 단순한 바닥이 아니라, ‘건물 하중 분배의 핵심 통로’입니다
슬래브 설계와 해석을 정확히 이해하면
건물 전체의 하중 흐름과 구조적 안정성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요.
👉 특히 양방향 슬래브와 무량판 구조는 최근 트렌드에 많이 쓰이기 때문에
기사 시험은 물론 실무에서도 반드시 이해하고 계셔야 합니다!
'토목 공학 스터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토목 시공순서] 공사 시작부터 마무리까지, 실무에 꼭 필요한 단계별 정리 🏗️ (0) | 2025.04.20 |
---|---|
[BIM 토목 활용] 이제는 필수다! 토목에서 BIM이 중요한 이유와 실무 적용 사례 총정리 🏗️ (0) | 2025.04.20 |
[구조계산서 작성법] 실무자가 알려주는 기본 구성과 작성 포인트 총정리 📐 (0) | 2025.04.19 |
[도로 설계 기준] 토목기사 & 실무자를 위한 핵심 정리 – 도로설계, 뭐부터 봐야 할까? 🛣️ (0) | 2025.04.19 |
[건설안전기사 vs 토목기사] 뭐가 더 좋을까? 진로, 난이도, 전망 비교 분석! 🏗️📋 (0) | 2025.04.19 |